우리는 꿈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이루어질 것입니다.
자유게시판
HOME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국내 최초] 박민규 교수, 노면전차 시설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작성자
철도경영학과
작성일
2020-09-22 14:03
조회
2007

노면전차(트램) 시설 설계 가이드라인 마련
이르면 2023년 트램 운행 예상 … 계획·설계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실무 지침
국토교통부는 트램 노선의 계획·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노면전차(트램) 시설 설계 가이드라인’(이하 설계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다. (* 트램 : 도로 위의 선로를 달리는 노면전차)
설계 가이드라인은 각 지자체에서 트램 노선의 계획·설계 시 도입 초기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활용 가능한 실무 지침이다.
동양대학교 박민규 교수는 (주)유신과 공동으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철도기술연구원 등 전문기관과의 협업 및 경찰청, 지자체 및 전문기관 등과 협의, 보완하여 확정하였다.
트램은 전용선로를 주행하는 도시철도와 도로를 주행하는 BRT의 특성과 장점을 두루 갖춘 교통수단으로서, 설계 가이드라인에는 이러한 트램의 특성을 고려한 계획·설계 요소를 제시하였다.
박민규 교수는 총칙, 선로, 신호, 전기, 관제 및 통신, 정거장, 차량기지 등 총 7개의 장으로 구성하였으며, 실무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외 사례도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설계가이드라인은 트램 노선을 계획 중인 각 시·도 지자체에 배포되며,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누리집*에서 누구나 내려받을 수 있다.
*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누리집 → 정책자료 → 정책정보
정부는 그간 트램의 활성화를 위해 「도시철도법」, 「철도안전법」. 「도로교통법」 등의 법률 개정을 통해 트램의 운행근거를 신설하는 등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서울, 부산, 대전, 경기 등 5개 시·도는 총 18개의 트램 노선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하는 등 도입 추진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 중, 대전 2호선, 부산 오륙도선, 서울 위례선, 경기 동탄트램 등이 노선별 기본계획 및 사업계획을 수립 중이며, 이러한 사업추진 과정에서 설계 가이드라인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트램은 소음이 적고 매연이 없는 친환경적인 장점과 함께 비용 측면에서도 지하철 보다 경쟁력이 있는 교통수단으로, 도시교통난 해소와 함께 도심의 재생 등에도 효과가 있어 유럽, 북미 등 389개 도시에서 2,304개 노선이 운영*되는 등 해외 주요 도시에서는 쉽게 접할 수 있는 도시교통 수단이다.
* UITP, "the global tram and light rail landscape"(2019.10)

국토교통부 대광위광역시설운영과 보도자료 및 노면전차 시설 설계 가이드라인 인용
